교학 Q&A
-
답변
교학관리자
2007.06.18
777
안녕하십니까? 교학 담당자입니다.
질문해 주신 부분은 화광신문(06/01/01 667호)의 자료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독고의 연’은 열반경(涅槃經)에 설해져 있는 비유다.
‘독고’란 독을 바른 큰북을 말하는 것으로 이 큰북의 소리를 듣고 싶지 않더라도, 모든 사람의 귀에 들리고 그 소리를 들은 사람은 그 독 때문에 모두 죽고 만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 연으로 번뇌를 끊고 득도할 수 있다.
이 비유는 절복을 받아도 그 당시는 반대하고 신수하지 않는 역연의 중생이라도 말법의 법화경인 삼대비법(三大秘法)의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들려줌으로써 불연(佛緣)을 맺어 장래에는 반드시 성불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처럼 ‘독고의 연’은 순연(順緣), 역연(逆緣), 신방(信謗)과 함께 일체중생을 성불시키는 묘법의 공덕이며 신심 이야기를 하는 것이 자비의 행동이 돼 반드시 그 사람을 구하는 첫걸음이다.
이케다 SGI회장은 “절복이란 ‘진실을 말하는 것’입니다.(중략)법화경의 진수인 ‘남묘호렌게쿄’의 훌륭함을 이야기하고 넓히는 행동은 전부 절복입니다”라고 ‘법화경의 지혜’에서 밝힌바 있다.
우리들은 더욱더 용기와 확신 넘친 납득의 대화를 추진해야겠다.
질문해 주신 부분은 화광신문(06/01/01 667호)의 자료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독고의 연’은 열반경(涅槃經)에 설해져 있는 비유다.
‘독고’란 독을 바른 큰북을 말하는 것으로 이 큰북의 소리를 듣고 싶지 않더라도, 모든 사람의 귀에 들리고 그 소리를 들은 사람은 그 독 때문에 모두 죽고 만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 연으로 번뇌를 끊고 득도할 수 있다.
이 비유는 절복을 받아도 그 당시는 반대하고 신수하지 않는 역연의 중생이라도 말법의 법화경인 삼대비법(三大秘法)의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들려줌으로써 불연(佛緣)을 맺어 장래에는 반드시 성불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처럼 ‘독고의 연’은 순연(順緣), 역연(逆緣), 신방(信謗)과 함께 일체중생을 성불시키는 묘법의 공덕이며 신심 이야기를 하는 것이 자비의 행동이 돼 반드시 그 사람을 구하는 첫걸음이다.
이케다 SGI회장은 “절복이란 ‘진실을 말하는 것’입니다.(중략)법화경의 진수인 ‘남묘호렌게쿄’의 훌륭함을 이야기하고 넓히는 행동은 전부 절복입니다”라고 ‘법화경의 지혜’에서 밝힌바 있다.
우리들은 더욱더 용기와 확신 넘친 납득의 대화를 추진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