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답변
교학관리자
2007.03.08
1,005
안녕하세요? 교학 담당자입니다.
답변이 너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어서 ‘성우문답초’의 구절을 인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성우문답초>에 “십악(十惡)이란 신(身)에 삼(三), 구(口)에 사(四), 의(意)에 삼(三)인데 신(身)에 삼(三)이란 살(殺), 도(盜), 음, 구(口)에 사(四)란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의(意)에 삼(三)이란 탐(貪), 진(瞋), 치(癡), 이를 십악(十惡)이라 하느니라.”(어서 477쪽)
◈신(身)의 삼악=>살생,투도,사음
살생(殺生) : 짐승이나 사람을 죽이는 것.
투도(偸盜) : 남의 물건을 몰래 훔치는 것.
사음(邪淫) : 자기의 아내나 남편이 아닌 사람과 음행(淫行)을 하는 일.
◈구(口)의 사악=>망어,기어,악구,양설
망어(妄語) : 진실하지 못한 허망한 말을 함.(거짓말)
기어(綺語) : 도리에 어긋나는, 교묘하게 꾸민 말.
악구(惡口) : 남에게 나쁜 말을 하는 짓. 악설. 악언.
양설(兩舌) : 양쪽을 이간질하여 싸움을 붙이는 일. 또는, 한 일을 이랬다저랬다 두 가지로 말하는 일.
◈의(意)의 삼악=>탐욕,진에,우치
탐욕(貪慾) : 지나치게 탐하는 욕심.
진에(瞋恚) : 자기 의사에 어그러짐에 대하여 성내는 일.(노여움)
우치(愚癡) : 어리석고 못난 것.
이상의 십악의 방법(謗法)의 죄를 거듭 범하게 된다면 불행과 타지옥(他地獄)의 인(因)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너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어서 ‘성우문답초’의 구절을 인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성우문답초>에 “십악(十惡)이란 신(身)에 삼(三), 구(口)에 사(四), 의(意)에 삼(三)인데 신(身)에 삼(三)이란 살(殺), 도(盜), 음, 구(口)에 사(四)란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의(意)에 삼(三)이란 탐(貪), 진(瞋), 치(癡), 이를 십악(十惡)이라 하느니라.”(어서 477쪽)
◈신(身)의 삼악=>살생,투도,사음
살생(殺生) : 짐승이나 사람을 죽이는 것.
투도(偸盜) : 남의 물건을 몰래 훔치는 것.
사음(邪淫) : 자기의 아내나 남편이 아닌 사람과 음행(淫行)을 하는 일.
◈구(口)의 사악=>망어,기어,악구,양설
망어(妄語) : 진실하지 못한 허망한 말을 함.(거짓말)
기어(綺語) : 도리에 어긋나는, 교묘하게 꾸민 말.
악구(惡口) : 남에게 나쁜 말을 하는 짓. 악설. 악언.
양설(兩舌) : 양쪽을 이간질하여 싸움을 붙이는 일. 또는, 한 일을 이랬다저랬다 두 가지로 말하는 일.
◈의(意)의 삼악=>탐욕,진에,우치
탐욕(貪慾) : 지나치게 탐하는 욕심.
진에(瞋恚) : 자기 의사에 어그러짐에 대하여 성내는 일.(노여움)
우치(愚癡) : 어리석고 못난 것.
이상의 십악의 방법(謗法)의 죄를 거듭 범하게 된다면 불행과 타지옥(他地獄)의 인(因)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