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한국SGI는 불법(佛法)의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한 생활을 추구하고 평화·문화·교육운동과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교학 Q&A

 

  • [RE]사개 격언의 뜻이 아니고 사개격언이 왜 사개 격언인가요

  • 관리자

  • 2016.09.21

  • 1,678

안녕하십니까?
한국SGI교학부입니다.

니치렌 대성인이 사개 격언을 통해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각 종파는 그 당시 일본의 국가 권력이나 민중에게 많은 영향력을 지닌 종파였습니다.
또 사개 격언의 표현은 당시에 각 종파가 자랑으로 내세우는 것을 단도직입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각 종파의 본질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파절하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상당한 비판력과 침투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런 당시의 상황을 무시하고, 지금의 시대에 그 표현만을 단편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도리어 위험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사개 격언의 본질은 당시 각 종파의 독선성(獨善性)과 그 독선성을 종교적 권위로 감추는 기만성을 간파하고, 엄격하게 지적하신 대성인의 ‘지혜’를 표현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근저에 민중을 지키는 ‘자비’가 넘쳐흐르고 있었다는 점은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사개 격언은 배타주의도 비관용도 아닙니다. 그 본질은 묘법의 지혜로 비춘 대성인의 이성적인 종교 비판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어느 면에서 보면, 이 사종(四宗)은 비뚤어진 종교의 네 가지 유형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 사종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대성인께서 생각하고 계시는 원만한 종교가 부각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은 본래 있어야 할 종교의 특징을 치우침 없이 조화롭게 포함하고 있는 원교(圓敎)입니다. 한 마디로 말하면 ‘인간을 위한 종교’인 것입니다.
사개 격언의 현대적인 의의는 단지 그 당시 일본의 종파를 파절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진정한 의의는 원만한 인간의 생명력을 개화(開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묘법연화(妙法蓮華)’이며, 무한한 ‘가치창조’입니다.
대성인께서 이 원교를 세워 처음으로 사회에 선언한 것이 입종선언입니다. 그것은 ‘인간종(人間宗)’의 개막을 의미합니다. 대성인께서는 입종선언을 통해 영원하고도 근본적인 인류 구제의 대도(大道)를 밝혀 주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