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RE]교학이란?
관리자
2015.05.06
867
안녕하십니까?
한국SGI교학부입니다.
교학(敎學) : 1.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 2. 가르치면서 배우는 것. 3. 교의(敎義)를 배우는 것. 특히, 말법의 법화경 즉 남묘호렌게쿄를 설명하고 규명한 니치렌대성인의 교의를 배우는 것을 말합니다.
어서(御書) : 1. 문서 또는 저서의 존칭어입니다. 2. 니치렌대성인이 평생에 걸쳐 써서 남긴 논문.서장을 말합니다. 3. 대성인이 저술하신 것을 어서라 부르고 공경하신 것은 닛코 상인이십니다. 스스로 어서를 강의하시면서 후세를 위해 수집하시고 많은 사본도 남기셨 습니다. 어서를 공경하고 어서를 근본으로 하는 것이 닛코 상인 문하의 기본 중의 기본이고, 혼입니다. 4. 요컨대 대성인께서 일생 동안 격렬하게 투쟁해 오신 기록이 바로 ‘어서’인 것입니다. 말법의 인류를 구제하기 위해 대난(大難)을 견디며 대법(大法)을 남겨 주셨습니다. 그 마음과 행동, 그리고 지남하신 결정(結晶)이 바로 어서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서를 ‘말법(末法)의 경전(經典)’이라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어서의 세계 제1권, 11쪽>
한국SGI교학부입니다.
교학(敎學) : 1.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 2. 가르치면서 배우는 것. 3. 교의(敎義)를 배우는 것. 특히, 말법의 법화경 즉 남묘호렌게쿄를 설명하고 규명한 니치렌대성인의 교의를 배우는 것을 말합니다.
어서(御書) : 1. 문서 또는 저서의 존칭어입니다. 2. 니치렌대성인이 평생에 걸쳐 써서 남긴 논문.서장을 말합니다. 3. 대성인이 저술하신 것을 어서라 부르고 공경하신 것은 닛코 상인이십니다. 스스로 어서를 강의하시면서 후세를 위해 수집하시고 많은 사본도 남기셨 습니다. 어서를 공경하고 어서를 근본으로 하는 것이 닛코 상인 문하의 기본 중의 기본이고, 혼입니다. 4. 요컨대 대성인께서 일생 동안 격렬하게 투쟁해 오신 기록이 바로 ‘어서’인 것입니다. 말법의 인류를 구제하기 위해 대난(大難)을 견디며 대법(大法)을 남겨 주셨습니다. 그 마음과 행동, 그리고 지남하신 결정(結晶)이 바로 어서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서를 ‘말법(末法)의 경전(經典)’이라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어서의 세계 제1권, 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