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RE]10군마(魔)를 알고 싶습니다.
관리자
2013.03.21
788
안녕하십니까?
한국SGI교학부입니다.
마군과의 싸움에 있어서 대성인께서는 이렇게 묘사하시고 있습니다.
"제육천의 마왕은 십군(十軍)의 전쟁을 일으켜서 법화경의 행자와 생사해(生死海)의 해중(海中)에서, 동거예토(同居穢土)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빼앗으려고 다투도다. 日蓮은 그 당사자가 되어 대병(大兵)을 일으킨지 이십여년인데, 日蓮은 한 번도 물러설 마음이 없었노라"(어서1224쪽)
마의 십군(十軍)이란 번뇌의 군대입니다.
① 욕(欲), 오욕(五欲)에 사로잡혀 수행에 태만히 하게 된다.
② 우수(憂愁), 마음이 울적하고 귀찮게 된다.
③ 기갈(飢渴), 굶주림과 목마름에 시달린다.
④ 갈애(渴愛), 애욕과 집착에 의해서 타락해 간다. 이성에 대한 애착이나 술 등의 쾌락에 빠지는 모습도 이것에 관계가 되어 있을 것이다.
⑤ 수면(睡眠), 전혀 자지 않는 것이 아니라 타면(惰眠)을 계속하는 듯한 진지 하지 않는 생 활이며 태도라고 말할 수 있으리라. 잠을 줄이며 향상에 대한 노력도 하지 않고, 요령좋 게 살아가는 인생도 포함될지 모른다.
⑥ 포외(怖畏), 두려움에 져서 겁쟁이가 된다.
⑦ 의회(疑悔), 수행자를 부추겨서 의심과 후회를 일으키게 한다.
⑧ 진에(瞋恚), 노여움에 의해서 수행이 방해 당한다.
⑨ 이양허칭(利養虛秤), 명리와 헛된 명성에 사로 잡혀서 성불에의 길을 벗어난다.
⑩ 자고멸인(自高蔑人), 자기를 높이고 타인을 깔본다.
이 마군(魔軍)을 쳐부수는 무기는 무엇인가.
그것은 오직 하나, 신심의 이검(利劍) 이외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광포의 리더는 제일에 「신심 강한」용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우수한 리더로 보였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차원에 있어서 魔(마)와의 "생명의 싸움"에 승리할 수 없습니다. 「신심」이 강한가. 어떤가, 그것이 진정한 강자인지 아닌지의 기준인 것입니다.
한국SGI교학부입니다.
마군과의 싸움에 있어서 대성인께서는 이렇게 묘사하시고 있습니다.
"제육천의 마왕은 십군(十軍)의 전쟁을 일으켜서 법화경의 행자와 생사해(生死海)의 해중(海中)에서, 동거예토(同居穢土)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빼앗으려고 다투도다. 日蓮은 그 당사자가 되어 대병(大兵)을 일으킨지 이십여년인데, 日蓮은 한 번도 물러설 마음이 없었노라"(어서1224쪽)
마의 십군(十軍)이란 번뇌의 군대입니다.
① 욕(欲), 오욕(五欲)에 사로잡혀 수행에 태만히 하게 된다.
② 우수(憂愁), 마음이 울적하고 귀찮게 된다.
③ 기갈(飢渴), 굶주림과 목마름에 시달린다.
④ 갈애(渴愛), 애욕과 집착에 의해서 타락해 간다. 이성에 대한 애착이나 술 등의 쾌락에 빠지는 모습도 이것에 관계가 되어 있을 것이다.
⑤ 수면(睡眠), 전혀 자지 않는 것이 아니라 타면(惰眠)을 계속하는 듯한 진지 하지 않는 생 활이며 태도라고 말할 수 있으리라. 잠을 줄이며 향상에 대한 노력도 하지 않고, 요령좋 게 살아가는 인생도 포함될지 모른다.
⑥ 포외(怖畏), 두려움에 져서 겁쟁이가 된다.
⑦ 의회(疑悔), 수행자를 부추겨서 의심과 후회를 일으키게 한다.
⑧ 진에(瞋恚), 노여움에 의해서 수행이 방해 당한다.
⑨ 이양허칭(利養虛秤), 명리와 헛된 명성에 사로 잡혀서 성불에의 길을 벗어난다.
⑩ 자고멸인(自高蔑人), 자기를 높이고 타인을 깔본다.
이 마군(魔軍)을 쳐부수는 무기는 무엇인가.
그것은 오직 하나, 신심의 이검(利劍) 이외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광포의 리더는 제일에 「신심 강한」용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우수한 리더로 보였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차원에 있어서 魔(마)와의 "생명의 싸움"에 승리할 수 없습니다. 「신심」이 강한가. 어떤가, 그것이 진정한 강자인지 아닌지의 기준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