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RE]대성인생애
관리자
2011.01.07
621
안녕하십니까?
한국SGI교학부입니다.
광선유포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먼저 질문내용을 보면, 닛켄종의 전형적인 수법인 신비하게 생각할만한 그럴듯한 내용과 마치 자신들만 특별히 알고 있는 무엇인가가 있는 것처럼 말하는 수법임을 잘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런 얘기들은 대성인의 ‘어서’나 닛코상인의 ‘문헌’에도 없고, 근거조차 찾을 수 없는 내용의 얘기이므로 ‘문증’으로도 어긋나며, 도리에도 맞지 않는 것으로 ‘이증’에도 어긋나는 것이므로 귀담아들을 가치가 없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어서의 세계> 2권, 32-34쪽에 보면 잘 알 수 있는 예가 있습니다.
[모리나카 :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 ‘마쓰바가야쓰 법난’ 때에 노토보와 신지타로가 부상을 당했다고 합니다. 대성인도 천신만고 끝에 그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성인께서는 어떻게 그 난관을 벗어날 수 있었을까요?
일설에는 흰 원숭이가 대성인의 옷소매를 끌어 안전한 곳으로 안내했다는 황당무계한 전설도 전해집니다.(웃음)
사이토 : 닛켄종의 승려도 “원숭이가 갑자기 소란스럽게 울어대며 대성인에게 위험을 알렸다.”라고 태연자약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종문의 교학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웃음)
모리나카 : 일찍이 이케다 선생님은 이런 설들에 대해 「십나찰(十羅刹)의 재량이었음인지 니치렌이 그 난(難)을 면했기 때문에」(어서 1294쪽)라는 구절을 배독하시면서 “사전에 그 소동을 짐작한 한 여성의 제보 때문이 아니었을까.”라고 말씀하셨습니다.
SGI회장 : 그렇습니다.
대성인께서 ‘마쓰바가야쓰 법난’의 위기를 모면한 것은 무슨 신비로운 징조가 있었던 것도, 불가사의한 자연계의 알림이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 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은 그저 추측할 수밖에 없지만, 제 생각에는 평소에 대성인을 지척에서 모시던 문하나 염불자들의 폭력에 혐오감을 느끼고 있던 평범한 서민에게서 정보를 들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 어서에 언급된 「십나찰의 재량」이라는 말씀처럼 여성 문하가 어떤 역할을 해서 대성인을 위기에서 지켰다는 것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입니다.
이것은 도다 선생님이 저에게 들려주신 말씀입니다.
어쨌든 시조깅고에게 주신 어서의 한 구절에 「사전(事前)의 조심이랄지 또 용기(勇氣)라 할지 또한 법화경에 대한 신심(信心)이 강하기 때문에」(어서 1192쪽)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또 「반드시 마음의 견고(堅固)함에 따라 신(神)의 수호(守護)도 즉 강하니라」(어서 1186쪽)는 묘락 대사의 해석은 어서에서 여러 차례 인용하시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말씀들은 우리가 마음속 깊이 새겨야 할 어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성인의 불법은 ‘인간주의’이고, ‘현실적’이며 ‘삼증’이 갖춰진 불법임을 잘 아실 것입니다. 닛켄종에서 얘기하는 것에 궁금해 하거나 동요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서’와 ‘선생님스피치’를 더욱 연찬하여 확신을 갖고 즐겁게 활동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SGI교학부입니다.
광선유포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먼저 질문내용을 보면, 닛켄종의 전형적인 수법인 신비하게 생각할만한 그럴듯한 내용과 마치 자신들만 특별히 알고 있는 무엇인가가 있는 것처럼 말하는 수법임을 잘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런 얘기들은 대성인의 ‘어서’나 닛코상인의 ‘문헌’에도 없고, 근거조차 찾을 수 없는 내용의 얘기이므로 ‘문증’으로도 어긋나며, 도리에도 맞지 않는 것으로 ‘이증’에도 어긋나는 것이므로 귀담아들을 가치가 없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어서의 세계> 2권, 32-34쪽에 보면 잘 알 수 있는 예가 있습니다.
[모리나카 :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 ‘마쓰바가야쓰 법난’ 때에 노토보와 신지타로가 부상을 당했다고 합니다. 대성인도 천신만고 끝에 그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성인께서는 어떻게 그 난관을 벗어날 수 있었을까요?
일설에는 흰 원숭이가 대성인의 옷소매를 끌어 안전한 곳으로 안내했다는 황당무계한 전설도 전해집니다.(웃음)
사이토 : 닛켄종의 승려도 “원숭이가 갑자기 소란스럽게 울어대며 대성인에게 위험을 알렸다.”라고 태연자약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종문의 교학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웃음)
모리나카 : 일찍이 이케다 선생님은 이런 설들에 대해 「십나찰(十羅刹)의 재량이었음인지 니치렌이 그 난(難)을 면했기 때문에」(어서 1294쪽)라는 구절을 배독하시면서 “사전에 그 소동을 짐작한 한 여성의 제보 때문이 아니었을까.”라고 말씀하셨습니다.
SGI회장 : 그렇습니다.
대성인께서 ‘마쓰바가야쓰 법난’의 위기를 모면한 것은 무슨 신비로운 징조가 있었던 것도, 불가사의한 자연계의 알림이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 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은 그저 추측할 수밖에 없지만, 제 생각에는 평소에 대성인을 지척에서 모시던 문하나 염불자들의 폭력에 혐오감을 느끼고 있던 평범한 서민에게서 정보를 들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 어서에 언급된 「십나찰의 재량」이라는 말씀처럼 여성 문하가 어떤 역할을 해서 대성인을 위기에서 지켰다는 것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입니다.
이것은 도다 선생님이 저에게 들려주신 말씀입니다.
어쨌든 시조깅고에게 주신 어서의 한 구절에 「사전(事前)의 조심이랄지 또 용기(勇氣)라 할지 또한 법화경에 대한 신심(信心)이 강하기 때문에」(어서 1192쪽)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또 「반드시 마음의 견고(堅固)함에 따라 신(神)의 수호(守護)도 즉 강하니라」(어서 1186쪽)는 묘락 대사의 해석은 어서에서 여러 차례 인용하시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말씀들은 우리가 마음속 깊이 새겨야 할 어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성인의 불법은 ‘인간주의’이고, ‘현실적’이며 ‘삼증’이 갖춰진 불법임을 잘 아실 것입니다. 닛켄종에서 얘기하는 것에 궁금해 하거나 동요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서’와 ‘선생님스피치’를 더욱 연찬하여 확신을 갖고 즐겁게 활동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