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애염명왕과 부동명왕
관리자
2010.11.29
1,537
안녕하십니까?
한국SGI교학부입니다.
애염명왕 (愛染明王) : 대성인이 어본존을 향하여 왼쪽에 범자(梵字 : 고대 인도의 문어(文語)인 산스크리트語의 문자) 로 쓰신 것으로, 대비사문천왕과 대증장천왕 사이에 범자로 표시된 것을 말합니다.
중생의 번뇌를 정화하고 번뇌에서 일어나는 환상이나 고통을 제거하는 하는 불법상의 신입니다.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의 원리를 상징합니다. 형상은 3개의 눈과 6개의 팔을 갖춘 모양이고 몸은 적색이고 얼굴은 분노의 상을 하였으며, 손에는 활과 화살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부동명왕 (不動明王) : 대성인이 어본존을 향하여 오른쪽에 범자(梵字 : 고대 인도의 문어(文語)인 산스크리트語의 문자) 로 쓰신 것으로, 대지국천왕과 대광목천왕 사이에 범자로 표시된 것을 말합니다.
불도수행자를 방해하는 장마를 타파함으로써 수행자를 도와주는 불법상의 신(神). 부동명왕은 화염을 방출하는 명상에 들어가 있는데 이 화염이 모든 죄장을 멸하고 절대로 동요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부동명왕은 장해에 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동(不動)’‘이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으로는 분노의 얼굴 상을 나타내고 오른 손에 검을 왼손에 견색을 가지고 화염을 몸에 감고 있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부동명왕은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을 상징합니다.
한국SGI교학부입니다.
애염명왕 (愛染明王) : 대성인이 어본존을 향하여 왼쪽에 범자(梵字 : 고대 인도의 문어(文語)인 산스크리트語의 문자) 로 쓰신 것으로, 대비사문천왕과 대증장천왕 사이에 범자로 표시된 것을 말합니다.
중생의 번뇌를 정화하고 번뇌에서 일어나는 환상이나 고통을 제거하는 하는 불법상의 신입니다.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의 원리를 상징합니다. 형상은 3개의 눈과 6개의 팔을 갖춘 모양이고 몸은 적색이고 얼굴은 분노의 상을 하였으며, 손에는 활과 화살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부동명왕 (不動明王) : 대성인이 어본존을 향하여 오른쪽에 범자(梵字 : 고대 인도의 문어(文語)인 산스크리트語의 문자) 로 쓰신 것으로, 대지국천왕과 대광목천왕 사이에 범자로 표시된 것을 말합니다.
불도수행자를 방해하는 장마를 타파함으로써 수행자를 도와주는 불법상의 신(神). 부동명왕은 화염을 방출하는 명상에 들어가 있는데 이 화염이 모든 죄장을 멸하고 절대로 동요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부동명왕은 장해에 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동(不動)’‘이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으로는 분노의 얼굴 상을 나타내고 오른 손에 검을 왼손에 견색을 가지고 화염을 몸에 감고 있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부동명왕은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을 상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