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초(抄)의 뜻
관리자
2010.08.17
636
안녕하십니까?
한국SGI교학부입니다.
초(抄) : 1. 어떤 문장을 발췌한 것. 2. 주석서(注釋書)를 말한다.
니치칸상인의 입정안국론우기에는 [부처의 설을 경(經)이라 이름 하고, 보살의 조(造)를 논(論)이라 칭하고, 인사(人師 )의 작(作)을 석(釋)이라 하고, 석(釋)을 주석함을 초(抄)라고 한다.] (니치렌대성인 어서사전. 1528쪽)
사이토교학부장께 질문시 답변해주신 내용을 참고로 보내드립니다.
1. 사도초, 선시초등의 어서제목에 초의 뜻은 무엇인지, 누가 붙인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 ‘초’라고 하는 것은 ‘자세하게 쓴 것이 아니라 간단히, 간결히 쓴 것’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것은 대성인께서 겸손하게 표현하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초’에는 ‘생략했다’ ‘어떤 부분은 빼도 좋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관심의 본존초’는 대성인 당신께서 붙이신 이름입니다. ‘개목초’는 대성인께서는 ‘개목’이라고만 쓰시고 후에 사람들이 ‘개목초’라고 붙이게 되었습니다.
‘초’라고 붙이는 것은 관습적인 부분으로 길지 않은 ‘어서’ 에 붙인 것입니다.
한국SGI교학부입니다.
초(抄) : 1. 어떤 문장을 발췌한 것. 2. 주석서(注釋書)를 말한다.
니치칸상인의 입정안국론우기에는 [부처의 설을 경(經)이라 이름 하고, 보살의 조(造)를 논(論)이라 칭하고, 인사(人師 )의 작(作)을 석(釋)이라 하고, 석(釋)을 주석함을 초(抄)라고 한다.] (니치렌대성인 어서사전. 1528쪽)
사이토교학부장께 질문시 답변해주신 내용을 참고로 보내드립니다.
1. 사도초, 선시초등의 어서제목에 초의 뜻은 무엇인지, 누가 붙인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 ‘초’라고 하는 것은 ‘자세하게 쓴 것이 아니라 간단히, 간결히 쓴 것’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것은 대성인께서 겸손하게 표현하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초’에는 ‘생략했다’ ‘어떤 부분은 빼도 좋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관심의 본존초’는 대성인 당신께서 붙이신 이름입니다. ‘개목초’는 대성인께서는 ‘개목’이라고만 쓰시고 후에 사람들이 ‘개목초’라고 붙이게 되었습니다.
‘초’라고 붙이는 것은 관습적인 부분으로 길지 않은 ‘어서’ 에 붙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