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묘법연화경의 유례에 대해서
여정국
2005.11.23
1,591
교학시험 준비를 앞두고 매우 바쁘시기라 생각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 질의하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양산통도사 석지형 스님이 법화경28품에 대해서 설명해 놓은 책의 서두에 의하면
인도의 경전을 한역으로 해석할때 세가지로 제목이 붙어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첫째는 서진의 축법호가가 해석한 ''정법화경'', 둘째는 요진의 삼장 구마나습이
해석한 ''묘법연화경'', 세째는 사나굴다와 달마굽다가 해석한 ''첨품묘법연화경''
이렇게 제목이 세가지로 붙어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중국의 고승들이 묘법의 당체가 무엇인지는 몰랐다고 하드라도 묘법연화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점으로 판단하건데
저희들이 배운바로는 니찌렌 대성인께서 출가하여 묘법의 당체가 ''남묘호렌개교''
(나무묘법연화경)라고 깨닫고 1253년4월28일에 처음으로 불렀다고 배웠는데.....
저희들이 배운 것과는 다소 혼돈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질문 자체가 잘못 해석하였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여하튼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 하십시요.
대구에서 여정국(011-351-9874, 053-358-9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