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한국SGI는 불법(佛法)의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한 생활을 추구하고 평화·문화·교육운동과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교학 Q&A

 

  • 답변 드립니다.

  • 관리자

  • 2009.07.22

  • 730

안녕하십니까?
한국SGI 교학부입니다.
대성인의 민중구제와 광선유포의 정신에 비추어 보면, 창가학회의 정의가 더욱 뚜렷해지며, 닛켄종(일련정종)의 역사는 대성인의 정신과는 더욱 멀어져만 가고 있는 것이 뚜렷해집니다.
최근 이 둘의 역사를 선명하게 대비한 자료를 전시 판넬과 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창가르네상스 80년 파사현정의 역사'라는 타이틀로 진행되는 전시는 각 방면의 신청을 받아 순회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질문해 주신 분의 방면 또는 권에 전시될 때 관심을 갖고 보아 주셨으면 합니다.
영상물로도 제작하여 7월 말까지 각 문화회관에서 볼 수 있도록 해 드렸습니다. 상영은 각 권에 맡기고 있습니다.

아래 첨부해 드린 자료는 작년 가을, 교학세미나에서 발표했던 자료 중 일부를 발췌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불법 이해를 위한 교학의 기초' 책자 166~174p에 더 자세히 나와 있으므로 이 자료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니치렌 대성인 멸후 종문 법멸의 역사>

니치렌 대성인은 대어본존과 모든 법문을 제2조 닛코 상인에게 맡기시고 1282년 존귀한 생애를 마치셨습니다.
닛코 상인은 계속되는 대난 속에서도 대성인을 가장 옆에서 지키며, 대성인이야말로 말법의 본불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그런데 각 지방의 중심자로 임명된 나머지 다섯 명의 제자는 대성인이 돌아가시자 권력자의 탄압을 두려워하여 자신들은 천태대사의 제자라고 하며 대성인과 닛코 상인을 배신하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닛코 상인은 미노부산을 떠나 후지산 근처에 다이세키사를 세우고 대성인의 뒤를 이어 더욱 홍교에 노력하였습니다.
그 후 제3조 니치모쿠 상인이 돌아가신 이후, 종문은 토지를 둘러싸고 수십 년 동안 내부 분쟁이 발생하여 정체기를 겪게 됐습니다.
그 속에서 제9세 니치우 상인은 전국에 포교의 발걸음을 옮기기도 했지만 그것도 잠시, 니치우 상인 이후에는 소년 법주가 대를 잇게 됐습니다.
또 200여 년에 걸쳐 타종의 승려를 법주로 데려 오는 등 법주의 계승마저 가까스로 유지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 제26세 니치칸 상인은 대성인의 정신을 선양하고 불법의 가르침을 정리하여 대성인 불법의 체계를 바로 잡았습니다.
이렇듯 종문은 니치우 상인, 니치칸 상인에 의해 기본적인 대성인 불법의 계승이 있었지만, 긴 역사 속에서 니치렌 대성인의 정신을 잃어버린 채 부패와 내부 항쟁으로 일관하며 변질되어 갔습니다.
이렇게 대성인 불법이 사라져 가고 있을 때, 창가학회가 탄생했습니다.
1930년11월18일, ‘대성인 불법을 기조로 한 교육개혁’을 목표로 하여 창가교육학회가 설립되었습니다. 초대 회장 마키구치 쓰네사부로와 도다 조세이 이사장 두 사람에서 시작된 창가학회는 불법을 근본으로 한 광선유포의 단체로 발전해 갔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국가주의와 군국주의의 길을 걸었고, 사상과 종교를 탄압하기 위해 ‘치안유지법’을 개정하였고, 국가신도를 강요했습니다.
이러한 속에서, 종문은 대성인이 말법시대의 본불임을 선언하신 어서 14곳을 삭제하고 학회도 신찰을 받으라고 강요했습니다.
하지만 마키구치 초대 회장과 도다 제2대 회장은 “국가신도의 신찰은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거부하였습니다.
그리고 “지금이야말로 국가간효를 할 때가 아닌가. 무엇을 두려워하고 있는가.”라며 용감하게 정의를 주장했습니다.

[강의]
보셨다시피 창가학회가 탄생한 1930년 전에는 대성인의 불법은 간신히 명맥만 유지되어 왔을 뿐, 제2조 닛코 상인과 제3조 니치모쿠 상인 시대에 전국으로 홍교한 것을 제외하면, 일본 내에서도 대성인의 불법이 거의 넓혀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광선유포의 정신을 상실하였고, 대성인의 불법이 인생의 행복과 사회의 평화를 가져오는 법리라는 것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또 장례식과 같은 의례에만 치중하는 등 기성불교와 전혀 차이가 없는 모습으로 변질되고 말았습니다.
그에 비해 실질적인 광포의 주체자로서 일어선 창가학회는 전세계에 대성인 불법을 넓히며 세계 광포를 추진하였을 뿐 아니라 350개 이상의 사원을 건립하여 종문에 기진하며 종문 외호에도 진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종문은 학회의 다대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학회와 이케다 제3대 회장을 시기, 질투하며 창가학회를 파문하는 모략을 꾸몄습니다.

[자료화면]
1990년, 권위적인 종문과 법주 닛켄은 창가학회를 자르고 회원만 종문에 흡수시킨다는 내용의, ‘창가학회 분리 작전, 일명<C작전>’을 꾸몄습니다.
그리고 1991년11월에는 학회를 아예 파문시키고 닛켄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법주를 신격화하고 절대시하는 ‘법주절대론’이라는 완전히 그릇된 교의를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종문은 학회를 파문하면서 대성인의 가르침에서 완전히 벗어난 그릇된 종교인 닛켄종으로 변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쇠망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반면에 창가학회는 닛켄종과 완전히 결별하여 대성인 직결의 단체로서, 세계적인 종교단체로서 비상하며 전세계로 넓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회원들은 부처의 대 자비의 생명으로 벗과 사회를 위해 공헌하고 전 세계를 평화의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이 모습이야말로 창가학회가 니치렌 대성인이 불러내신 불의불칙의 단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