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답변
교학관리자
2008.08.21
819
안녕하세요? 교학 담당자입니다.
인과이법과 인과구시에 대해서 다음의 자료를 보내드리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대성인은 지금까지 밝힌 ‘묘한 마음’을 ‘법’이라고 말씀하십니다.‘묘한 마음’이 바로 ‘묘호’입니다. ‘공’이나 ‘삼제원융’이라 해도 추상적 이론이나 말만으로 ‘묘호’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인간 중도의 지혜가 되어 나타남으로써 비로소 사람들의 규범이 되고 법이 되어 넓혀지기 때문입니다.
또 “이 법문의 불가사의를 나타냄에 비유를 사법(事法)으로 표현하여 연화〈렌게〉라 이름함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묘법〈묘호〉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부처는 ‘이 법문의 불가사의’를 범부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사물을 이용한 ‘비유’로 설명합니다. 그것이 ‘연화〈렌게〉’입니다.
왜 연화인가. 그것은 보통 식물은 꽃이 핀 후에 과실을 맺습니다. 이 관계를 인과(因果)의 비유로 수용하면 꽃은 원인이고 열매는 결과입니다. 이것은 ‘인과이시(因果異時)’입니다.
이에 비해 연꽃은 꽃잎과 함께 과실이 동시에 생장하고, 꽃이 피었을 때 열매가 동시에 자랍니다. 연꽃과 열매는 ‘인과구시(因果俱時)’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성불의 불인불과(佛因佛果)에 대해 법화경 이외의 이전권경(爾前權經)의 가르침은, 인(因)이 되는 범부의 생명속에 불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겁수행을 거쳐 비로소 부처의 경애를 구축할 수 있다고 설합니다. 이것은 ‘인과이시’입니다.
그러나 법화경은 범부 생명에 본래 갖춰진 부처의 경애를 바로 열어 나타낸다고 설합니다. ‘마음’을 근본으로 하여 말하면 중생의 ‘미혹의 마음’이 부처의 ‘묘한 마음’으로 바로 전환한다고 설합니다. 이 ‘인과구시’를 ‘연화〈렌게〉’에 비유합니다.
<2001년 09월 법련 자료 중>
인과이법과 인과구시에 대해서 다음의 자료를 보내드리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대성인은 지금까지 밝힌 ‘묘한 마음’을 ‘법’이라고 말씀하십니다.‘묘한 마음’이 바로 ‘묘호’입니다. ‘공’이나 ‘삼제원융’이라 해도 추상적 이론이나 말만으로 ‘묘호’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인간 중도의 지혜가 되어 나타남으로써 비로소 사람들의 규범이 되고 법이 되어 넓혀지기 때문입니다.
또 “이 법문의 불가사의를 나타냄에 비유를 사법(事法)으로 표현하여 연화〈렌게〉라 이름함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묘법〈묘호〉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부처는 ‘이 법문의 불가사의’를 범부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사물을 이용한 ‘비유’로 설명합니다. 그것이 ‘연화〈렌게〉’입니다.
왜 연화인가. 그것은 보통 식물은 꽃이 핀 후에 과실을 맺습니다. 이 관계를 인과(因果)의 비유로 수용하면 꽃은 원인이고 열매는 결과입니다. 이것은 ‘인과이시(因果異時)’입니다.
이에 비해 연꽃은 꽃잎과 함께 과실이 동시에 생장하고, 꽃이 피었을 때 열매가 동시에 자랍니다. 연꽃과 열매는 ‘인과구시(因果俱時)’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성불의 불인불과(佛因佛果)에 대해 법화경 이외의 이전권경(爾前權經)의 가르침은, 인(因)이 되는 범부의 생명속에 불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겁수행을 거쳐 비로소 부처의 경애를 구축할 수 있다고 설합니다. 이것은 ‘인과이시’입니다.
그러나 법화경은 범부 생명에 본래 갖춰진 부처의 경애를 바로 열어 나타낸다고 설합니다. ‘마음’을 근본으로 하여 말하면 중생의 ‘미혹의 마음’이 부처의 ‘묘한 마음’으로 바로 전환한다고 설합니다. 이 ‘인과구시’를 ‘연화〈렌게〉’에 비유합니다.
<2001년 09월 법련 자료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