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답변
교학관리자
2007.10.29
508
안녕하세요? 교학 담당자입니다.
먼저, 육난구이란 문자 그대로 ‘여섯 가지 어려운 일’과 ‘아홉 가지 쉬운 일’입니다. 이 비교를 통해 부처의 멸후에 묘법을 홍통하는 일이 얼마나 곤란한지를 나타냅니다.
'육난’의 내용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① 부처의 멸후에 악세(惡世)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것.
② 부처의 멸후에 법화경을 쓰고 혹은 다른 사람에게도 쓰게
하는 것.
③ 부처의 멸후에 악세에서 잠시라도 법화경을 읽는 것.
④ 부처의 멸후에 한 사람을 위해서라도 법화경을 설하는 것.
⑤ 부처의 멸후에 법화경을 듣고 그 의미를 묻는 것.
⑥ 부처의 멸후에 능히 법화경을 수지하는 것.
'구이(九易)’란 다음과 같이 됩니다.
① 법화경 이외의 여러 경전을 설하는 것.
② 수미산을 타방(他方)의 무수한 불토에 던져 놓는 것.
③ 발가락으로 이 삼천대천세계를 움직이고 멀리 타국으로
던지는 것.
④ 이 세계의 정점인 유정천(有頂天)에 서서 법화경 이외의
무량한 경전을 설하는 것.
⑤ 손으로 허공을 움켜잡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것.
⑥ 대지를 발등 위에 놓고 하늘로 올라가는 것.
⑦ 마른 풀을 등에 지고 큰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는 것.
⑧ 무수한 법문을 설하여 사람들에게 신통력을 얻게 하는 것.
⑨ 많은 사람들에게 소승의 최고 깨달음인 아라한의 위(位)를 얻게 하는 것.
자세한 사항은 '법화경의 지혜' 3권의 견보탑품(하)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먼저, 육난구이란 문자 그대로 ‘여섯 가지 어려운 일’과 ‘아홉 가지 쉬운 일’입니다. 이 비교를 통해 부처의 멸후에 묘법을 홍통하는 일이 얼마나 곤란한지를 나타냅니다.
'육난’의 내용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① 부처의 멸후에 악세(惡世)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것.
② 부처의 멸후에 법화경을 쓰고 혹은 다른 사람에게도 쓰게
하는 것.
③ 부처의 멸후에 악세에서 잠시라도 법화경을 읽는 것.
④ 부처의 멸후에 한 사람을 위해서라도 법화경을 설하는 것.
⑤ 부처의 멸후에 법화경을 듣고 그 의미를 묻는 것.
⑥ 부처의 멸후에 능히 법화경을 수지하는 것.
'구이(九易)’란 다음과 같이 됩니다.
① 법화경 이외의 여러 경전을 설하는 것.
② 수미산을 타방(他方)의 무수한 불토에 던져 놓는 것.
③ 발가락으로 이 삼천대천세계를 움직이고 멀리 타국으로
던지는 것.
④ 이 세계의 정점인 유정천(有頂天)에 서서 법화경 이외의
무량한 경전을 설하는 것.
⑤ 손으로 허공을 움켜잡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것.
⑥ 대지를 발등 위에 놓고 하늘로 올라가는 것.
⑦ 마른 풀을 등에 지고 큰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는 것.
⑧ 무수한 법문을 설하여 사람들에게 신통력을 얻게 하는 것.
⑨ 많은 사람들에게 소승의 최고 깨달음인 아라한의 위(位)를 얻게 하는 것.
자세한 사항은 '법화경의 지혜' 3권의 견보탑품(하)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