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 Q&A
-
답변
교학관리자
2007.10.09
903
안녕하세요? 교학 담당자입니다.
먼저,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장례식장에서 말씀하시는 성불에 대한 개념은 아래의 내용(화광신문 자료)을 참고하여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서 초목성불구결(草木成佛口決)에 [묘법이란 유정의 성불이며 연화란 비정의 성불이니라, 유정은 生의 성불・비정은 死의 성불・生死의 성불이라고 하는 것이 유정비정의 성불인것이니라. ……이 의(意)는 초목으로도 되시는 수량품(壽量品)이니라](어서1338쪽)라고 있다.
정이란 마음, 의식, 감정을 말한다. 유정이란 감정이나 의식을 갖고있는 것의 총칭. 예를들면, 인간이나 동물과 같이 의식활동을 스스로 할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 비정이란, 희로애락의 정이나 감각이 없는 것이다. 목석(木石), 산하(山河), 국토도 이에 포함된다.
이 유정과 비정을 삼세간(三世間)에서 본다면 오음세간(五陰世間) 중생세간은 유정, 국토세간은 비정이다.
의정불이(依正不二)의 입장에서 본다면 의보는 비정, 정보는 유정이 된다. 우리의 신체도 유정과 비정을 갖고 있다. 즉, 손톱과 머리칼 등은 비정, 그 외는 유정이다.
이 유정・비정의 원리는 법화경에서 밝혀졌다. 日蓮대성인께서 일체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대어본존을 도현하신것도 이원리에 의한것이며, 만약 초목성불, 비정의 성불의 원리가 밝혀지지 않으면 말법의 중생은 성불 할 수 없게된다. 우리들이 본존님께 창제할 때 묘법의 당체로서 빛난다.
먼저,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장례식장에서 말씀하시는 성불에 대한 개념은 아래의 내용(화광신문 자료)을 참고하여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서 초목성불구결(草木成佛口決)에 [묘법이란 유정의 성불이며 연화란 비정의 성불이니라, 유정은 生의 성불・비정은 死의 성불・生死의 성불이라고 하는 것이 유정비정의 성불인것이니라. ……이 의(意)는 초목으로도 되시는 수량품(壽量品)이니라](어서1338쪽)라고 있다.
정이란 마음, 의식, 감정을 말한다. 유정이란 감정이나 의식을 갖고있는 것의 총칭. 예를들면, 인간이나 동물과 같이 의식활동을 스스로 할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 비정이란, 희로애락의 정이나 감각이 없는 것이다. 목석(木石), 산하(山河), 국토도 이에 포함된다.
이 유정과 비정을 삼세간(三世間)에서 본다면 오음세간(五陰世間) 중생세간은 유정, 국토세간은 비정이다.
의정불이(依正不二)의 입장에서 본다면 의보는 비정, 정보는 유정이 된다. 우리의 신체도 유정과 비정을 갖고 있다. 즉, 손톱과 머리칼 등은 비정, 그 외는 유정이다.
이 유정・비정의 원리는 법화경에서 밝혀졌다. 日蓮대성인께서 일체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대어본존을 도현하신것도 이원리에 의한것이며, 만약 초목성불, 비정의 성불의 원리가 밝혀지지 않으면 말법의 중생은 성불 할 수 없게된다. 우리들이 본존님께 창제할 때 묘법의 당체로서 빛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