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2013년 12월호 좌담회어서 홈페이지 강의 원고
관리자
2013-11-22
6,981
2013년 12월 반좌담회어서 <자쿠니치보어서>
안녕하십니까?
이번달 어서는 <자쿠니치보어서> 입니다.
이 어서는 1279년 9월 16일, 대성인이 어느 문하를 위해 써서 제자인 자쿠니치보에게 전달해 달라고 부탁하신 편지입니다. 어서의 내용에서 이 문하는 대성인의 부모와 연관된 사람이며 대성인의 고향인 아와에 살았다고 추정됩니다.
이 어서는 먼저, 받기 어려운 인신을 받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과도 만나 “제목의 행자”가 된 복운이 얼마나 큰지를 가르치십니다.
이어서 니치렌이 바로 “일본 제일의 법화경의 행자”라고 선언하십니다. 오로지 대성인 한 사람만이 법화경 권지품에 설하는 삼류강적과 싸워 경문을 몸으로 읽었기 때문입니다.
또 “니치렌”이라고 자칭하는 일은 “자해불승”으로서, 대성인의 묘법홍통은 상행보살이 말법에서 출현한 일에 해당한다고 법화경 신력품의 경문을 인용해 밝히십니다.
그리고 이러한 대성인의 제자가 된 사람들은 깊은 숙연을 자각해 대성인과 같이 묘법을 넓혀야 한다고 촉구하십니다.
끝으로 어본존을 깊이 믿으라고 가르치며 삼세영원한 행복을 위해 신심을 게을리하지 말고 남묘호렌게쿄라고 끝까지 부르도록 격려하십니다.
그럼 [본문]을 함께 읽겠습니다.
[ 본 문 ] (어서 903쪽 7행-9행)
이러한 자의 제자단나가 된 사람들은 숙연이 깊다고 생각하여 니치렌과 동일하게 법화경을 넓혀야 하느니라. 법화경의 행자라고 불려져 버린 것은 이미 불상이며 면하기 어려운 몸이로다.
이어서 [통해]를 읽어드리겠습니다.
[ 통 해 ]
이러한 니치렌의 제자와 단나가 된 사람들은 숙연이 깊다고 생각하고 니치렌과 같이 법화경을 넓혀야 한다.
(당신이) 법화경 행자라고 불리는 것은 이미 불운이며 면하기 어려운 몸이다.
[ 어 구 해 설 ]
[숙연]은 과거세부터 맺은 인연이나 관계를 뜻합니다. 여기서는 대성인 그리고 법화경과 과거세부터 깊이 맺어진 관계를 가리킵니다.
[불상]은 불운과 재난을 뜻합니다. 여기서는 대성인의 문하가 되어 법화경 때문에 난을 받는 것을 일반적으로 말하면 ‘불상’ 즉 불운이며 재난이라는 뜻입니다.
[ 어 서 해 설 ]
이 어서는 ‘사제불이의 실천’을 가르치신 어서입니다.
어서의 “이러한 자”는 ‘법화경 행자’ 그리고 ‘상행보살’로서 말법에 모든 민중을 구제하고자 갖가지 대난과 꿋꿋이 싸운 니치렌대성인입니다.
불석신명으로 투쟁을 이겨낸 대성인의 제자가 된 사람들은 “숙연이 깊다고 생각하여” 하고 말씀하십니다. 즉 삼세에 걸친 불법의 사제가 지닌 깊은 ‘연’을 자각하라는 말씀입니다.
스승인 대성인이 문하에게 “숙연을 자각해 지용의 사명을 가슴에 품고 일어서라!” 하고 격려한 일은 더할 나위 없는 ‘생명의 칭호’를 주신 일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성인은 이어서 “니치렌과 동일하게 법화경을 넓혀야 하느니라.” 하고 문하에게 묘법홍통의 실천을 촉구하십니다.
악세말법에 법화경 행자로서 일어서 홍교를 실천하면 계속해서 고난이나 고뇌가 따를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대성인은 “불상이며” 즉 불운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면하기 어려운 몸”은 바꿔 말하면 무엇에도 굴하지 않고 해내는 ‘사명 깊은 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니치렌과 동일하게” 어떠한 난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로 일어서 눈 앞의 불행에 허덕이는 민중을 끝까지 구제하는 광선유포 활동에 힘쓰는 일이 바로 우리가 지금 이때에 제자로서 태어난 숙연을 뜻하며 영예로운 사명입니다.
[ 포 인 트 ]
첫째 포인트는 대성인의 제자가 된 연 그리고 SGI를 만나 학회원이 되고 동지가 된 연은 매우 깊은 숙연이라는 점입니다.
그 숙연은 우리가 대성인 또는 스승처럼 광선유포의 존귀한 사명을 완수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지금 이곳에 모였다고 깨닫는 일이 아닐까요.
과거부터 맺어진 숙연이지만 이번에는 현재에서 미래까지 미치는 사명으로 깊이 받아들여야 합니다.
많은 사람이 ‘갖가지 고뇌가 있었기에 비로소 지금의 내가 있다. 그러므로 나에게 그 고뇌는 필요했다.’고 체험했을 것입니다.
또 불법은 삼세 영원한 생명을 설합니다. 그 생명은 금세에 우리가 처한 환경이나 사람과 맺은 연도 그곳에서 그치는 덧없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풍부한 의의를 지니고 우리 몸을 장식합니다.
사제의 숙연을 깊이 자각하고 스스로 결의해 사제공전의 사명에 살아가는 인생, 이 얼마나 굉장하고 위대한 인생인가요.
둘째 포인트는 신심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수많은 고난을 불운이라고 한탄하는 듯한 약한 모습이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어떠한 고난도 두려워하지 않고 위대한 스승과 함께 사명에 살아가는 제자의 영예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위대한 인생을 살고 있는지, 기쁨이 넘치고 용기가 솟아나는 글월입니다.
이케다 선생님은 <자쿠니치보어서>를 배독하고 이렇게 지도하셨습니다.
“대성인은 ‘정의이기 때문에 질투를 당하고 비난을 받고 박해를 당한다.
힘들겠지만, 이것은 피할 수 없는 불법의 법칙이다.
나와 연이 깊다고 생각하고 광선유포를 위해 분발하라.’고 격려하십니다.
중상과 비난을 당해도 그런 일로 의기소침하면 안 됩니다.
정의이기 때문에 박해를 당하는 일은 영원한 긍지이자 복덕입니다. 영원한 승리입니다. 박해 따위는 작은 바람이 부는 것과 같습니다. 사소한 일입니다.
내 가슴에는 문하를 향한 대성인의 확신에 찬 목소리가 울려퍼집니다.”
이 사제의 숙연을 가슴에 품고 굳이 광선유포를 위해 사명에 살아가는 영원한 자부심이 바로 이케다 선생님 슬하에서 우리 창가의 사제가 모든 고난을 극복하고 투쟁해 승리하는 원동력이 아닐까요.
드디어 총본부가 완성되어 장대한 창가 신시대의 개막을 맞이했습니다.
광선유포라는 지용의 사명을 지닌 피할 수 없는 몸으로서 그리고 창가의 동지로서 사제 공전의 인생을 걷는 긍지를 지니고 용기 있게 나아가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달 어서는 <자쿠니치보어서> 입니다.
이 어서는 1279년 9월 16일, 대성인이 어느 문하를 위해 써서 제자인 자쿠니치보에게 전달해 달라고 부탁하신 편지입니다. 어서의 내용에서 이 문하는 대성인의 부모와 연관된 사람이며 대성인의 고향인 아와에 살았다고 추정됩니다.
이 어서는 먼저, 받기 어려운 인신을 받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과도 만나 “제목의 행자”가 된 복운이 얼마나 큰지를 가르치십니다.
이어서 니치렌이 바로 “일본 제일의 법화경의 행자”라고 선언하십니다. 오로지 대성인 한 사람만이 법화경 권지품에 설하는 삼류강적과 싸워 경문을 몸으로 읽었기 때문입니다.
또 “니치렌”이라고 자칭하는 일은 “자해불승”으로서, 대성인의 묘법홍통은 상행보살이 말법에서 출현한 일에 해당한다고 법화경 신력품의 경문을 인용해 밝히십니다.
그리고 이러한 대성인의 제자가 된 사람들은 깊은 숙연을 자각해 대성인과 같이 묘법을 넓혀야 한다고 촉구하십니다.
끝으로 어본존을 깊이 믿으라고 가르치며 삼세영원한 행복을 위해 신심을 게을리하지 말고 남묘호렌게쿄라고 끝까지 부르도록 격려하십니다.
그럼 [본문]을 함께 읽겠습니다.
[ 본 문 ] (어서 903쪽 7행-9행)
이러한 자의 제자단나가 된 사람들은 숙연이 깊다고 생각하여 니치렌과 동일하게 법화경을 넓혀야 하느니라. 법화경의 행자라고 불려져 버린 것은 이미 불상이며 면하기 어려운 몸이로다.
이어서 [통해]를 읽어드리겠습니다.
[ 통 해 ]
이러한 니치렌의 제자와 단나가 된 사람들은 숙연이 깊다고 생각하고 니치렌과 같이 법화경을 넓혀야 한다.
(당신이) 법화경 행자라고 불리는 것은 이미 불운이며 면하기 어려운 몸이다.
[ 어 구 해 설 ]
[숙연]은 과거세부터 맺은 인연이나 관계를 뜻합니다. 여기서는 대성인 그리고 법화경과 과거세부터 깊이 맺어진 관계를 가리킵니다.
[불상]은 불운과 재난을 뜻합니다. 여기서는 대성인의 문하가 되어 법화경 때문에 난을 받는 것을 일반적으로 말하면 ‘불상’ 즉 불운이며 재난이라는 뜻입니다.
[ 어 서 해 설 ]
이 어서는 ‘사제불이의 실천’을 가르치신 어서입니다.
어서의 “이러한 자”는 ‘법화경 행자’ 그리고 ‘상행보살’로서 말법에 모든 민중을 구제하고자 갖가지 대난과 꿋꿋이 싸운 니치렌대성인입니다.
불석신명으로 투쟁을 이겨낸 대성인의 제자가 된 사람들은 “숙연이 깊다고 생각하여” 하고 말씀하십니다. 즉 삼세에 걸친 불법의 사제가 지닌 깊은 ‘연’을 자각하라는 말씀입니다.
스승인 대성인이 문하에게 “숙연을 자각해 지용의 사명을 가슴에 품고 일어서라!” 하고 격려한 일은 더할 나위 없는 ‘생명의 칭호’를 주신 일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성인은 이어서 “니치렌과 동일하게 법화경을 넓혀야 하느니라.” 하고 문하에게 묘법홍통의 실천을 촉구하십니다.
악세말법에 법화경 행자로서 일어서 홍교를 실천하면 계속해서 고난이나 고뇌가 따를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대성인은 “불상이며” 즉 불운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면하기 어려운 몸”은 바꿔 말하면 무엇에도 굴하지 않고 해내는 ‘사명 깊은 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니치렌과 동일하게” 어떠한 난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로 일어서 눈 앞의 불행에 허덕이는 민중을 끝까지 구제하는 광선유포 활동에 힘쓰는 일이 바로 우리가 지금 이때에 제자로서 태어난 숙연을 뜻하며 영예로운 사명입니다.
[ 포 인 트 ]
첫째 포인트는 대성인의 제자가 된 연 그리고 SGI를 만나 학회원이 되고 동지가 된 연은 매우 깊은 숙연이라는 점입니다.
그 숙연은 우리가 대성인 또는 스승처럼 광선유포의 존귀한 사명을 완수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지금 이곳에 모였다고 깨닫는 일이 아닐까요.
과거부터 맺어진 숙연이지만 이번에는 현재에서 미래까지 미치는 사명으로 깊이 받아들여야 합니다.
많은 사람이 ‘갖가지 고뇌가 있었기에 비로소 지금의 내가 있다. 그러므로 나에게 그 고뇌는 필요했다.’고 체험했을 것입니다.
또 불법은 삼세 영원한 생명을 설합니다. 그 생명은 금세에 우리가 처한 환경이나 사람과 맺은 연도 그곳에서 그치는 덧없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풍부한 의의를 지니고 우리 몸을 장식합니다.
사제의 숙연을 깊이 자각하고 스스로 결의해 사제공전의 사명에 살아가는 인생, 이 얼마나 굉장하고 위대한 인생인가요.
둘째 포인트는 신심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수많은 고난을 불운이라고 한탄하는 듯한 약한 모습이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어떠한 고난도 두려워하지 않고 위대한 스승과 함께 사명에 살아가는 제자의 영예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위대한 인생을 살고 있는지, 기쁨이 넘치고 용기가 솟아나는 글월입니다.
이케다 선생님은 <자쿠니치보어서>를 배독하고 이렇게 지도하셨습니다.
“대성인은 ‘정의이기 때문에 질투를 당하고 비난을 받고 박해를 당한다.
힘들겠지만, 이것은 피할 수 없는 불법의 법칙이다.
나와 연이 깊다고 생각하고 광선유포를 위해 분발하라.’고 격려하십니다.
중상과 비난을 당해도 그런 일로 의기소침하면 안 됩니다.
정의이기 때문에 박해를 당하는 일은 영원한 긍지이자 복덕입니다. 영원한 승리입니다. 박해 따위는 작은 바람이 부는 것과 같습니다. 사소한 일입니다.
내 가슴에는 문하를 향한 대성인의 확신에 찬 목소리가 울려퍼집니다.”
이 사제의 숙연을 가슴에 품고 굳이 광선유포를 위해 사명에 살아가는 영원한 자부심이 바로 이케다 선생님 슬하에서 우리 창가의 사제가 모든 고난을 극복하고 투쟁해 승리하는 원동력이 아닐까요.
드디어 총본부가 완성되어 장대한 창가 신시대의 개막을 맞이했습니다.
광선유포라는 지용의 사명을 지닌 피할 수 없는 몸으로서 그리고 창가의 동지로서 사제 공전의 인생을 걷는 긍지를 지니고 용기 있게 나아가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