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한국SGI는 불법(佛法)의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한 생활을 추구하고 평화·문화·교육운동과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자료실

 

  • 2012년 11월호 좌담회어서 - 법련 내용과 동일

  • 관리자

  • 2012-10-25

  • 7,347

2012년 11월 지구좌담회 어서
사도어서

[배경과 대의]
이 어서는 1272년 3월, 니치렌대성인이 51세 때, 유배지인 사도에서 문하 일동에게 주신 편지입니다.
이 편지를 쓰기 전해인 1271년에 일어난 다쓰노구치법난 이후, 박해의 손길은 대성인뿐 아니라 문하에게도 미쳐, 제자들은 투옥되거나 소령을 몰수당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대성인이 법화경 행자라면 어찌 대난을 당하겠는가.’라는 의심을 품고, 가혹한 박해가 두려워 퇴전하는 자가 속출했습니다.
대성인은 난으로 동요하는 제자들을 걱정하여 1272년 2월, 자신이 바로 말법의 어본불임을 밝히신 <개목초>를 문하 일동에게 주셨습니다.
같은 해 2월에는 대성인이 <입정안국론>에 예언하신 자계반역난(自界叛逆難)이 적중했음을 의미하는 2월소동(집권자인 호조 일족의 내란)이 일어나, 그 소식을 듣고 저술하신 어서가 <사도어서>입니다. 또 이 어서는 <개목초>의 취지를 요약하신 어서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 어서에는 사람에게 더할 나위 없는 보물인 ‘생명’을 불법에 바치면 반드시 부처가 된다고 가르치고, 그 실천 방법은 시대에 따라 다르다고 씌어 있습니다.
특히 악왕과 악승이 결탁해 정법의 행자를 박해하는 말법에는 ‘사자왕의 마음’으로 악과 끝까지 싸우는 사람이 반드시 부처가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또 자계반역난이 적중된 엄연한 사실에서, 대성인이 바로 일본국 사람들에게 주사친(主師親)의 삼덕을 갖춘 존재임을 밝히셨습니다.
그리고 자신에게 일어난 대난의 원인은 세간의 죄는 하나도 없고, 과거에 법화경을 비방한 중죄 때문이라고 법난의 의미를 통찰하셨습니다. 법화경의 적을 강하게 질책하는 ‘호법의 공덕력’으로 과거의 죄업을 금세에 가볍게 받아 소멸할 수 있는 숙명전환의 원리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끝으로 대성인에 대한 퇴전자들의 어리석은 비판을 일축하고, 그들이 염불자보다 더 오래 무간지옥에 떨어질 것을 몹시 불쌍하게 여기며 이 어서를 마무리하십니다.


[본문] 어서전집 957쪽 9~10행
악왕이 정법을 파하는데 사법의 승들이 한편이 되어 지자를 살해하려 할 때는 사자왕과 같은 마음을 가진 자 반드시 부처가 되느니라. 예컨대 니치렌과 같다. 이것은 교만함이 아니라 정법을 아끼는 마음이 강성함이니라.


[통 해]
악왕이 정법을 파괴하려고 하는데, 사법의 중들이 한편이 되어 지자를 살해하려 할 때는 사자왕의 마음을 지닌 사람이 반드시 부처가 된다. 예를 들면 니치렌이다. 이는 교만해서 한 말이 아니다. 정법을 아끼는 마음이 강성하기 때문이다.


[어구해설]
지자(智者)_ 사물의 도리를 분별하는 지혜 있는 사람.


[포인트강의]
영원히 승리하여 번영하는 사제의 길을!

성불이라는 인생의 궁극적인 승리를 결정짓는 열쇠는 고난에 과감하게 맞서나가는 ‘사자왕의 마음’이라고 가르치신 어서입니다.
“악왕이 정법을 파하는데 사법의 승들이 한편이 되어 지자를 살해하려 할 때”란 정치적인 권력과 종교적인 권위가 결탁해 올바른 불법을 실천하는 사람에게 박해를 가하는 때를 말합니다.
이러한 탄압의 구도는 어느 시대나 변하지 않습니다. 사실 이 어서를 집필하기 전해에 일어난 다쓰노구치법난과 사도유죄는 헤이노사에몬노조요리쓰나와 고쿠라쿠사 료칸 등이 꾀한 탄압사건이었습니다.
악과 결탁한 박해가 있을 ‘때’에 ‘사자왕의 마음’으로 일어서서 절복정신으로 끝까지 싸우는 사람은 반드시 부처가 된다고 단언하십니다. 권력에 빌붙어 이익을 탐하는 여러 종파 중들의 본질을 대성인은 ‘축생과 같은 마음’이라고 꿰뚫어 보셨습니다.
이 ‘축생과 같은 마음’을 유유히 내려다보고 깨부수는 것이 ‘사자왕의 마음’입니다.
“예컨대 니치렌과 같다.”고 하신 말씀처럼 그 모범을 보이신 분이 바로 대성인입니다. “스승이 일체의 마성을 타파하듯이 제자도 ‘사자왕의 마음’을 끌어내어 마를 타파하라. 스승과 같은 마음으로 싸워라.”는 사제불이의 투쟁을 외치는 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결코 교만해서 한 말이 아니다. ‘정법을 아끼는 마음’이 강성하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법’을 아끼기 때문에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는 ‘불석신명’의 정신으로 법화경의 적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자왕’처럼 끝까지 투쟁하는 것이 대성인의 마음입니다.
이케다 SGI 회장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사제의 정신을 계승하는 한, 학회는 영원히 승리하여 번영한다. 이 사실을 나의 문하, 그중에서도 직계 제자인 청년부 여러분에게 나는 강하게 말해 두고 싶다.
‘사자왕의 마음’을 가진 스승의 뒤를 이어라!
‘사자왕의 마음’으로 제자여 승리하라!
이것이 바로 <사도어서>를 몸으로 읽는 SGI 사제의 상승(常勝)의 외침입니다.” 그 무엇도 두려워하지 않는 ‘사자왕의 마음’을 불러 일으켜서 인생과 광포의 승리를 향해 용감하게 전진합시다.



[신입회원과 함께하는 좌담회 어서]

“좋다, 학회와 함께!” 여기에 사자왕의 마음이

이달에 배우는 어서는 이케다 선생님이 “니치렌대성인의 결론입니다. 요컨대 ‘용기’가 바로 결론입니다.”라고 강의하신 어서입니다.
일찍이 권력(악왕)과 권위(사법의 중들)가 결탁해 대성인을 살해하려고 했습니다.
말하자면 온 나라 사람이 박해했습니다. 이보다 혹독한 박해는 없습니다.
끝내는 형장에서 병사들이 대성인을 둘러싸고, 무사가 대성인의 목을 베려고 칼을 높이 쳐든다, 그 순간까지 몰고 갔습니다.(다쓰노구치법난)
물론 대성인에게는 아무 죄도 없었습니다. 소식을 듣고 달려온 한 제자(시조깅고)가 끝내 슬픔을 못 이기고 울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대성인은 그 문하에게 “이처럼 기쁜 일을 (어찌하여 우는가), 그러니 웃으시오.” 하고 여유 있는 모습으로 타이르셨습니다.
이러한 대경애! 게다가 문하에 대한 애정이 넘칩니다.

감동적입니다. 그것이 ‘사자왕과 같은 마음’이군요.
이보다 더한 것이 없다고 할 정도의 고난이 무서운 기세로 다투어 일어날 ‘때’, 강인한 용수철처럼 끝까지 투쟁하는 용기를 지닌 사람이 ‘반드시 부처가 된다.’고 대성인은 가르치셨습니다.
이케다 선생님에게도 이런 일화가 있습니다.
1957년, 참의원 오사카지방구 보궐선거에서 유권자를 매수하고 호별방문을 부추겼다는 거짓으로 꾸민 죄목으로 체포당했습니다.(7월 3일)
당시 창가학회의 세력이 급격히 늘어났기에 그것을 억압하려고 꾸민 일이었습니다. 더 늦기 전에 학회 성장의 싹을 뽑아버려야겠다, 학회본부를 수색하고 도다 선생님에게 손을 대려고 했습니다.
그때의 심정을 이케다 선생님은 이렇게 이야기하셨습니다.
“절대로 도다 선생님에게 탄압의 손을 미치게 하면 안 된다. 광선유포의 아성이 권력에 짓밟히는 일을 단연코 저지하려고 했다.
나는 자신이 진두에 서서 감옥에 들어가기를 기원했다. 도다 선생님의 방패가 되어 지키고 싶다고 기원했다. 그리고 감옥에 들어갔습니다.”
대단합니다. 나는 그런 용기를 내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렇죠. 저도 그런 용기를 낼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그러한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요?
저는 그것이 ‘소중한 것’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참으로 소중한 것을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지키려고 합니다. 바로 거기서 용기가 나오는 것이 아닐까요?
예를 들면, 자식을 위해 그야말로 목숨을 내던지는 어머니 또는 좀 나쁜 예인지는 모르지만 재력의 힘이나 권력 혹은 체면 때문에 ‘어떻게 그런 짓을 할까.’라는 사람도 세상에는 많습니다.
즉 그 말은 ‘소중한 것’이 뭐냐에 따라 용기를 내는 방법이 다르다는 말인가요?

예리하네요! 무엇을 ‘소중한 것’으로 여기느냐가 중요한 거죠.
대성인은 전 인류를 구하는 정법을 위해 목숨을 바치셨습니다.

‘정법을 아끼는 마음’이군요.

맞습니다. 대성인의 바람은 한사람 한사람의 행복이었습니다.
즉 고뇌로부터 구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사회의 평화와 번영입니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법밖에 없다, 이 이상 ‘소중한 것’은 없다, 그래서 투쟁했습니다. 절대로 정법이 파괴되면 안 된다는 마음으로 용감하게 악과 싸웠습니다.
이케다 선생님도 마찬가지였다고 생각합니다. 은사 도다 선생님과 함께 싸우는 동지를 지키지 못하면 미래는 없습니다. 그래서 혼자 모든 것을 감당하신 것이지요.
사실은 “어떻게 하면 용기를 낼 수 있습니까?” 하고 질문을 한 어느 청년에게 이케다 선생님이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 ‘좋다. 학회와 운명을 같이하겠다!’는 ‘신(信)’의 한 글자에서 힘이 솟아납니다. 지혜가 떠오르고, 용기가 솟아오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