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서비스 한국SGI는 불법(佛法)의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한 생활을 추구하고 평화·문화·교육운동과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자료실

 

※ 글씨체 조금 바꿨습니다.
※ 배경과 글씨체 모양이 화려하면 글을 온전히 전달하기가 어렵습니다.
※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가독성 있을 만한 글씨체를 사용해주세요.
※ 한컴 ‘한쇼’로 제작한 ppt입니다.
--------------------------------
“자신이 부처가 되지 못하고서는 부모라 해도 구하기 어려우니, 하물며 타인(他人)에 있어서랴.”(어서 1429쪽)



“신심이 없으면 아무리 어본존을 수지하고 있어도 공덕은 없습니다.”(2021년 3월 법련 31쪽)


“법화경(法華經) 석가(釋迦) 다보(多寶)·시방(十方)의 제불보살(諸佛菩薩)·제천선신(諸天善神) 등(等)을 신봉(信奉)하고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라고 봉창(奉唱)하는 것을 신심(信心)이라고 말하는 것이오.”(어서 1255쪽)



“이 어본존(御本尊)을 결코 타처(他處)에서 구(求)하지 말지어다. 다만 우리들 중생(衆生)이 법화경(法華經)을 수지(受持)하고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라고 봉창(奉唱)하는 흉중(胸中)의 육단(肉團)에 계시느니라. 이것을 구식심왕진여(九識心王眞如)의 도(都)라고 하느니라. 십계구족(十界具足)이라 함은 십계(十界)가 일계(一界)도 빠짐없이 일계(一界)에 있음이라, 이에 의(依)해서 만다라(曼陀羅)라고 하며 만다라(曼陀羅)라고 함은 천축(天竺)의 이름으로서 여기서는 윤원구족(輪圓具足)이라고도 공덕취(功德聚)라고도 이름하느니라. 이 어본존(御本尊)도 다만 신심(信心)의 이자(二字)에 들어 있으니 이신득입(以信得入)이란 이것이니라.

니치렌(日蓮)의 제자단나등(弟子檀那等)·정직사방편(正直捨方便)·불수여경일게(不受余經一偈)라고 무이(無二)로 믿음으로써·이 어본존(御本尊)의 보탑(寶塔) 안에 들어 갈 수 있느니라·미덥고 미덥도다. 어떻게든 후생(後生)을 깊이 생각하고 또 생각하시라, 결단코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라고만 봉창(奉唱)하여 부처가 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라, 신심(信心)의 후박(厚薄)에 달려 있으며, 불법(佛法)의 근본(根本)은 신(信)으로써 근원(根源)으로 하느니라. 그러므로 지관(止觀)의 四에 가로되 「불법(佛法)은 바다와 같다. 오직 신(信)만이 능(能)히 들어감」이라고, 홍결(弘決)의 四에 가로되 「불법(佛法)은 바다와 같다, 오직 신(信)만이 능(能)히 들어 감이란 공구(孔丘)의 말씀도 역시 신(信)을 첫째로 했느니라, 하물며 불법(佛法)의 심리(深理)에 있어서랴. 신(信)이 없이 어찌 들어 가겠느뇨. 고(故)로 화엄(華嚴)에 신(信)을 도(道)의 근원(根源) 공덕(功德)의 모(母)로 하느니라」 등(等), 또 지(止)의 一에 가로되 「어떻게 원(圓)의 법(法)을 듣고 원(圓)의 신(信)을 일으키며 원(圓)의 행(行)을 세워서 원(圓)의 위(位)에 주(住)하리오」 홍(弘)의 一에 가로되 「원신(圓信)이라고 함은 이(理)에 의(依)하여 신(信)을 일으키고 신(信)을 행(行)의 본(本)으로 함」 운운(云云).”(어서 1244쪽)


“방법(謗法)을 책(責)하지 아니하고 성불(成佛)을 원(願)하면 불 속에서 물을 구(求)하고, 물속에서 불을 찾는 것과 같이 되리니 덧없고 덧없도다. 아무리 법화경(法華經)을 믿으신다 해도 방법(謗法)이 있으면 반드시 지옥(地獄)에 떨어지리라. 칠(漆) 천통(千桶)에 게의 발 하나 넣는 것과 같으니라. 독기심입(毒氣深入)·실본심고(失本心故)는 이것이니라.”(어서 1056쪽)

→ ‘법화경-생명’을 믿는 마음이 있을지라도, 그 마음에 반대되는 마음·사고습관이 더 강하고 지배적이면 반드시 불행해진다.
【독기심입(毒氣深入)·실본심고(失本心故)】 “독기가 깊이 들어가서 본심을 잃었기 때문에”(묘법연화경병개결 486쪽)
→ “이것은 방법이라는 독이 깊이 들어갔기에 깊은 미혹에 빠져 불성의 힘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뜻이다.”(2019년 11월 법련 부별 연찬 어서)

“입으로 헐뜯는 것을 비(誹)라 하고, 마음으로 배반(背反)함을 방(謗)이라 한다고.”(어서 823쪽)
→ ‘법화경-생명’과 반대되는 언행과 마음·사고

“설령 깨달음이 있어도 신심(信心)이 없는 자는 비방천제(誹謗闡提)의 자이니라.”(어서 940쪽)
【闡提】 살생(殺生)을 많이 하여 착한 성품(性品)이 전혀 없음을 이르는 말.
→ ‘비방천제(誹謗闡提)의 자’는 ‘법화경-생명’을 믿는 마음에 반대되는 마음·사고습관이 강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 즉, 자타(自他)의 ‘생명’을 몸과 마음으로 죽이는 것이 습관인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 불법의 가르침에 동의하고, ‘법화경-생명’을 믿는 마음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그 ‘법화경-생명’을 믿는 마음을 끊임없이 창조해 습관화해야 한다.



“불교(佛敎)를 홍통(弘通)하는 사람은 반드시 기근(機根)을 알아야 하느니라”(어서 438쪽)
“불교(佛敎)를 홍통(弘通)하는 사람은 반드시 시(時)를 알아야 하느니라”(어서 439쪽)

“무지(無智)한 자로서 아직 대법(大法)을 방(謗)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갑자기 대법(大法)을 주지 않으며”(어서 1026쪽)
“무지(無智)한 자로서 아직도 정법(正法)을 방(謗)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함부로 이 경(經)을 설하지 말지니라”(어서 1026쪽)
“기근(機根)이 아닌데 대법(大法)을 수여(授與)한다면 우인(愚人)은 필시(必是) 비방(誹謗)을 하여 악도(惡道)에 떨어지리니 어찌 설(說)하는 사람의 죄(罪)가 아니겠느뇨”(어서 256쪽)

“결국(結局)은 기근(機根)에는 의하지 않고 때가 오지 않았기에 어떠한 경우에도 설(說)하지 않으셨으리라.”(어서 257쪽)
→ 상대방이 기근이 좋아도, 때가 아니면 설하지 말아야 한다.
→ 상대방이 기근이 안 좋아도, 때가 되면 설해야 한다.

“불법(佛法)에 있어서는 현명(賢明)해 보이는 사람이라도 시(時)에 의(依)하고 기(機)에 의(依)하고 국(國)에 의(依)하고 선후(先後)의 홍통(弘通)에 의(依)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면, 신심(身心)을 괴롭혀서 수행(修行)할지라도 효험(效驗)이 없는 것이니라.”(어서 344쪽)




강녕하고 평화롭고 지혜롭고 행복하고 숙면하고 창조적인 하루하루 되세요~^0^

2021.04.10.
--------------------------------
【제작】
은평권 이해담 (leeinteo@daum.net)

【사용 글씨체】 ※ 글씨체 다운로드 후, 설치 하시고 PPT를 실행해 주세요.
나눔글꼴 (나눔스퀘어 Bold, ExtraBold) 다운로드: https://hangeul.naver.com/2017/nanum
서울서체 (08서울남산체 L) 다운로드: https://www.seoul.go.kr/seoul/font.do
KoPub 서체 (KoPub돋움체 Bold)
다운로드: http://kopus.org/Biz/electronic/Font2.aspx
한컴 경기천년체 (경기천년바탕 Bold)
다운로드: https://www.hancom.com/cs_center/csDownload.do
고도체 (고도 M)
다운로드: https://design.godo.co.kr/custom/free-font.php

【무료 이미지 출처】 https://unsplas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