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임용시험 모의고사
- 제 3회 -




※ 다음은 <성인어난사>의 일절입니다. 어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설사 ㉠대귀신(大鬼神)이 붙은 사람일지라도 니치렌을 범석(梵釋), 일월(日月), 사천(四天) 등 천조태신(天照太神), 팔번(八幡)이 수호하시는 ㉡고로 벌하기 어려우리라고 아실지니라. ( ㉢ ) 강성해지시라. 조금이라도 해이한 마음이 있다면 마(魔)가 틈탈 것이니라.

(어서 1190쪽)

【문제1】 위의 어문에서 밑줄 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법화경 행자(行者)를 박해하는 사람에게는 벌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② 법화경 행자인 대성인을 모든 제천선신이 수호하므로 해를 입힐 수 없다는 단언이다.


【문제2】 <성인어난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아쓰하라법난’이 한창이던 시기에 문하에게 보낸 편지로, 고문과 다름없는 취조를 당한 문하들에게 난이 오면 피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② 대난을 견디는 강한 신심으로 광선유포를 위해 힘쓰는 민중이 출현했다고 확신하며 대성인 자신의 ‘출세의 본회’를 밝혔다.


【문제3】 위의 어문에서 ( ㉢ )안에 들어갈 어구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    )
① 월월 일일      ② 때때로



【문제4】 <니치묘성인어서>의 일절입니다. (    )안에 들어갈 단어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우리들 구박의 범부가 당장에 교주석존과 공덕이 같으니, 그 공덕 전체를 받아서 갖기 때문이니라. 경에 가로되 ‘( )’등 운운. 법화경을 깨닫는 자는 석존과 제등하다고 하는 글월이니라.
① 아차토안온     ② 여아등무이


【문제5】 니치렌 대성인이 <니치묘성인어서>를 통해 말씀해 주신 내용을 읽는 우리의 실천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자신의 행복만을 위해서, 불도수행에 힘쓰는 것
② 자행화타(自行化他)의 실천에 힘쓰는 것


【문제6】 위의 어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법화경을 깨닫는 것’은 법화경을 경문 그대로 실천하고 홍통한다는 의미이다.
② 범부는 석존과 똑같이 뛰어난 경지(境地)와 공덕을 갖출 수 없다.



※ 다음은 <미사와초>에 대한 문제입니다.
※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하나만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정법    ② 말법

【문제7】 모든 사람의 생명이 무명이라는 근본적인 미혹에 뒤덮인 시대를 (  )시대라고 한다. (    )




【문제8】 니치렌 대성인이 <미사와초>를 저술하신 의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말법의 시대에도 정법, 상법시대 불법의 공덕으로 근본적인 미혹을 해결할 수 있다.
② 말법의 시대에는 ‘남묘호렌게쿄’의 대법이 전 세계에 유포될 것이다.


【문제9】 니치렌 대성인께서 <미사와초>를 통해 말씀해 주신 내용의 실천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묘법 유포의 긍지와 사명을 가슴에 품고 당당히 세계광포의 대원을 위해 살아간다.
② 어려움이 닥치면 고뇌와 좌절을 반복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포기하기도 한다.



※ 다음은 <니치렌 대성인의 생애>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10】 니치렌 대성의 미노부 입산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대성인이 미노부산에 들어가신 이유는 속세를 떠나 조용히 살기 위해서였다.
② 대성인은 미노부에서 수많은 어서를 집필하고 인재육성에 힘을 쏟았다.


【문제11】 사도유배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대성인은 무엇보다 자신의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이었기에 어떤 활동도 하지 않았다.
② 대성인은 살을 에는 추위와 식량도 부족하고 늘 목숨을 위협받는 속에서 법론도 펼치고 중요한 어서를 저술했다.


【문제12】 아쓰하라법난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신앙을 버리도록 협박을 받은 민중들은 신심이 약해 결국에는 모두 권력의 힘에 굴복했다.
② 농민 신도들의 불석신명에 민중의 강한 신심의 확립을 느낀 대성인은 <성인어난사>에서 출세의 본회를 밝혔다.



※ 다음은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13】 다음 어서의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어구를 고르시오. (    )

“처음으로 나의 마음이 본래의 부처라고 아는 것을 즉 대환희라고 이름한다. 소위 (    )는 환희 중의 대환희이니라.” (어서 788쪽)

① 남묘호렌게쿄     ② 사제불이


【문제14】 다음의 설명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올바른 것을 하나만 고르시오. (    )

법화경에서 설하는 우주와 생명을 꿰뚫는 근원의 법이자 성불의 근본법이다. 니치렌 대성인이 나타낸 것으로, 이것을 믿고 실천할 때 평범한 사람의 생명에도 묘법의 힘과 작용이 발휘되어 부처의 생명이 나타나게 된다.

① 육난구이     ② 남묘호렌게쿄



※ 다음은 <일생성불과 광선유포>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15】 성불은 자기 내면에 갖춰진 부처의 생명경애를 여는 것으로 어본존을 신수하고 순수하게 자행화타를 열심히 실천하면 어떠한 사람이라도 반드시 일생 동안에 성불의 경애를 얻을 수 있다고 설한 법리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신심즉생활     ② 일생성불


【문제16】 대성인의 정신을 이어받아 어서 말씀대로 묘법을 홍통하고, 광선유포를 추진한 화합승으로 광선유포의 사명을 짊어지는 지용보살의 단체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창가학회      ② 닛켄종



※ 다음은 <십계>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17】 불계의 경애를 현대적으로 말한다면 그 어떤 것에도 침해당하지 않는 ( ) 행복경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다 선생님은 신심으로 얻은 이 경애를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행복이라는 경애”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
① 상대적      ② 절대적



【문제18】 ‘십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우리가 어본존을 믿고 자행화타에 걸친 창제에 힘쓸 때 자신의 생명에 내재되어 있는 불계를 나타낼 수 있다.
② 눈앞의 이해에 사로잡혀 이성이 작용하지 않는 ‘어리석음’을 지닌 경애가 천계다.



※ 다음은 <삼증>에 대한 문제입니다.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하나만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문증    ② 이증    ③ 현증


【문제19】 그 종교의 교의와 주장이 도리에 맞느냐 안맞느냐 하는 것을 (    )이라 한다.



【문제20】 대성인은 “경문에 명백함을 쓰고 (    ) 없는 것은 버리라는 것이니라.”(어서 482쪽)라고 하시며 경문에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고 훈계하셨다.



【문제21】 다음은 <삼증>에 관한 어문입니다. 밑줄 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니치렌이 불법을 시험하건대 도리와 증문보다 더한 것은 없고, 또 도리 증문보다도 ㉠현증 이상은 없느니라.”(어서 1468쪽)
① 이 결과로서 다른 사람보다는 자신에게 얼마나 이득을 주는지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② 종교의 교의를 바탕으로 신앙을 실천한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점을 나타내며, 이 결과로 종교의 승렬과 천심을 판단해야 한다.



※ 다음은 <신행학>에 관한 문제입니다.
※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하나만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신 ② 행 ③ 학

【문제22】 “일염부제 제일의 어본존을 믿으실지어다. 기필코 기필코 신심을 강성히 하여 삼불의 수호를 받도록 하시라.”(어서 1361쪽)의 어문은 신행학 중에서 (    )의 의미를 나타내는 내용이다.



( ㉠ )의 이도를 힘쓸지어다. ( ㉠ )이 끊어지면 불법은 없느니라. 나도 행하고 남도 교화하시라. ( ㉠ )은 신심에서 일어나는 것이로다. 힘이 있는 한 일문일구라도 설할지니라. (어서 1361쪽)
【문제23】 위의 어문에서 3개의 ( ㉠ )안에 들어갈 어구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    )
① 불신     ② 행학



※ 다음은 <난을 극복하는 신심>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24】 다음은 니치렌 대성인의 어문입니다. (    ) 안에 들어갈 어구로 가장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조수(潮水)의 썰물과 밀물, 월출(月出)과 월입(月入), 여름과 가을과 겨울과 봄과의 경계에는 반드시 상위(相違)하는 일이 있으니, 범부가 부처로 되는데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반드시 (    )라고 하는 장해가 나타나는데, 현자(賢者)는 기뻐하고 우자(愚者)는 물러남이 이것이니라.” (어서 1091쪽)
① 삼장사마
② 이체동심


※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속중 ②도문 ③참성
【문제25】 ‘(    )증상만’은 법화경 행자를 박해하는 비구(승려)를 가리킵니다. 사지(邪智)로 마음이 비뚤어져 있어 진실한 불법을 알지 못하면서도 자기 생각에 집착하고 자신이 뛰어나다고 생각하여 정법을 수지한 사람을 박해합니다.




※ 다음은 <숙명전환>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 26】 ‘전중경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신심을 열심히 하면 전중경수의 공덕에 따라 인생의 고난을 겪는 일은 전혀 없다.
② 광선유포를 위해 투쟁하면 난을 만나게 되는데 고난을 만나서 숙명전환할 수 있는 것은 전중경수의 공덕이다.


【문제 27】 악세에서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구제하고자 일부러 원해서 스스로 청정한 업보를 버리고 악세에 태어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원겸어업      ② 이체동심



※ 다음은 <신심즉생활>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28】 ‘묘법의 공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묘법을 믿고 실천하면 상대적인 행복경애를 확립할 수 있다.
② 제목의 힘으로 어떠한 환경에서도 두려움을 모르는 경애를 나타낼 수 있다.


【문제29】 ‘사람의 행동’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자신의 불계를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부처의 생명을 가질 수 없다.
② 모든 사람을 성불시키겠다는 서원으로 눈앞의 한 사람을 소중히 해야 한다.



※ 다음은 <창가학회의 역사>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30】 이케다 선생님은 은사 도다 선생님의 전망을 구체화하기 위해 불법(佛法)을 기조로 한 (    ), 문화, 교육운동을 펼치며 사회에 공헌했습니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어구를 고르시오. (    )
① 평화     ② 혼란


【문제31】 다음 중 ‘3・16’‘광선유포 기념일’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도다 선생님은 권력자와 잘 타협하여 창가학회가 탄압받지 않도록 후계자에게 부탁하셨다.
② 도다 선생님은‘창가학회는 종교계의 왕자다’라고 선언하시며, 이케다 선생님을 비롯한 후계의 청년들에게 광선유포의 일체를 맡기셨다.



※ 다음은 <닛켄종을 파한다>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제32】 니치렌 대성인이 문하가 단결하여 함께 묘법을 부르고, 광선유포에 매진할 것을 호소하셨습니다. 다음의 어문 중 (    ) 안에 들어갈 어구로 가장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니치렌의 제자 단나 등은 자타피차(自他彼此)라는 마음 없이 수어(水魚)라고 생각을 해서 (    )이 되어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라고 봉창하는 바를”
(어서 1337쪽)

① 대방법     ② 이체동심


【문제33】 창가학회의 종교개혁이 가지고 있는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    )
① 인간을 강하게, 선하게, 현명하게 하는 ‘인간을 위한 종교’인 니치렌불법을 대성인의 정신대로 현대에 올바르게 실천해 전개하는 단체가 창가학회이다.
② 창가학회는 누구나 동등하게 부처의 생명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는 법화경의 사상을 경시하는 잘못된 사상과 타협하며 싸우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