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임용시험 모의고사
- 제 1회 -




※ 다음은 <성인어난사>의 일절입니다. 어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설사 ㉠대귀신(大鬼神)이 붙은 사람사람일지라도 니치렌을 범석(梵釋), 일월(日月), 사천(四天) 등 천조태신(天照太神), 팔번(八幡)이 수호하시는 고로 벌하기 어려우리라고 아실지니라. 월월(月月) 일일(日日) 강성해지시라. 조금이라도 해이한 마음이 있다면 마(魔)가 틈탈 것이니라.

(어서 1190쪽)

【문제1】 <성인어난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묘법을 수지하는 사람은 어떠한 고난도 이겨내고 불법의 올바름도 반드시 증명된다고 가르치고 있다.
② 어려움에 직면하면 상황을 원망하며 잠시 물러서도 된다고 가르치고 있다.

【문제2】 위 어문에서 밑줄 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사람들을 불행에 빠뜨리려는 마성의 작용이 나타난 권력자
② 법화경을 수호하는 제천선신

【문제3】 니치렌 대성인이 위 어문을 통해 말씀해 주신 내용의 실천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대성인이 대난을 이겨낸 것처럼, 대성인 문하도 ‘사자왕의 마음’을 발휘해 난에 맞서 나날이 다달이 강성한 신심을 관철해야 한다.
② 권력자의 박해가 심해진다면 신심을 버리고 자신의 안위만을 중요시해야 한다.



※ 다음은 <니치묘성인어서>의 일절입니다. 어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우리들 구박(具縛)의 범부(凡夫)가 당장에 교주석존(敎主釋尊)과 공덕(功德)이 같으니, 그 공덕(功德) 전체(全體)를 받아서 갖기 때문이니라. 경(經)에 가로되 ㉠‘여아등무이(如我等無異)’등 운운. ( ㉡ )을 깨닫는 자(者)는 석존(釋尊)과 제등(齊等)하다고 하는 글월이니라.

(어서 1215쪽)

【문제4】 위의 어문에서 ( ㉡ )안에 들어갈 어구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    )
① 법화경  ② 화엄경


【문제5】 위의 어문에서 밑줄 친㉠이 의미하는 바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모든 민중을 자신과 똑같은 경애로 끌어올리고 싶다는 부처의 서원이다.
② 말대의 범부는 묘법을 수지하더라도 부처와 똑같은 경애로는 될 수 없다는 뜻이다.


【문제6】 위의 어문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오토님 어머니의 구도심이 얼마나 위대하고 드문 일인지 칭찬하신 편지이다.
② 석존이 과거세에 거듭 수행하여 쌓은 공덕은 오직 자신을 위한 것이었다.



※ 다음은 <미사와초>의 일절입니다. 어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이 법문(法門)이 출현하면 정법(正法) 상법(像法)의 논사(論師), 인사(人師)가 말씀한 법문은 모두 해가 뜬 후의 별의 빛이며 장인의 솜씨를 보고난 후에 졸렬함을 알게 됨과 같으니라. 이때에는 정상(正像)의 사당(寺堂)의 불상(佛像), 승(僧) 등의 영험은 다 소실되고 다만 이 대법만이 일염부제(一閻浮提)에 유포하리라고 쓰여 있느니라. 여러분은 이러한 법문에 ㉡인연이 있는 사람이기에 마음 든든하다고 생각하시라.

(어서 1489)

【문제7】 위의 어문에서 밑줄 친㉠이 의미하는 바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니치렌대성인의 불법은 모든 민중을 영원히 비추고 구하는 ‘태양의 불법’이다.
② 정토교의 근본 성전은 정토삼부경의 불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문제8】 의 어문에서 밑줄 친㉡이 의미하는 바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대성인을 저버린 오노승을 일컫는다.
② 민중구제의 대법을 함께 넓히는 숙연 깊은 문하를 일컫는다.



※ 다음은 <니치렌 대성인의 생애>에 대한 문제입니다.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하나만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다쓰노구치법난 ② 입종선언 ③ 쓰카하라문답

【문제9】 대성인은 1253년 4월 28일 염불 등을 파절함과 동시에 남묘호렌게쿄의 제목이 말법의 민중을 구제하는 유일한 정법이라고 (     )을 하신다.



【문제10】 대성인 자신에게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 사건으로, 대성인은 (     )을 통해 범부라는 임시의 모습을 열어, 자비와 지혜가 넘치는 부처라는 본래의 경지를 나타내신다.





【문제11】  다음 어서의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어구를 고르시오. (    )

“이 어본존을 결코 타처에서 구하지 말지어다. 다만 우리들 중생이 (    )을 수지하고 남묘호렌게쿄라고 봉창하는 흉중의 육단에 계시느니라.” (어서 1244쪽)
① 법화경      ② 아함경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나무(南無) ② 묘법(妙法) ③ 연화(蓮華) ④ 경(經)
【문제12】 귀명(歸命)이라는 뜻으로 몸도 마음도 귀의하는 혼신의 힘을 다해 가르침을 실천하여 체현한다는 의미로 (    )라고도 한다.




※ 다음은 <일생성불과 광선유포>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13】 성불의 경애를 나타내며, 어디에 있어도 또 무슨 일이 있어도 살아 있는 그 자체가 행복하고 즐거운 경애를 표현한 것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상대적 행복     ② 절대적 행복


【문제14】 불법을 실천하는 목적은 자신의 일생성불을 실현함과 동시에 자타 함께 행복을 확립하는 데 있습니다. 니치렌 대성인이 현실사회에 자타 함께 행복을 확립하는 실천의 목표로서 입정안국과 함께 설하신 것은 무엇인지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동집생의      ② 광선유포



※ 다음은 <십계>에 관한 문제입니다.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에 알맞은 것을 하나만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지옥계  ② 수라계  ③ 천계   ④ 불계

【문제15】 자기와 남을 비교하여 늘 남을 이기려는 ‘승타(勝他)의 염(念)’이 강한 경애 (    )



【문제16】 자신의 생명의 근원이 묘법이라고 깨달음으로써 열리는 광대하고 복덕이 풍부한 경애 (    )



【문제17】 십계의 각계가 서로 십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불법용어를 고르시오. (    )
① 십군      ② 십계호구



※ 다음은 <삼증>에 관한 문제입니다.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문증    ② 이증    ③ 현증

【문제18】 불교는 석존의 가르침 즉 경문을 반드시 근거로 삼아야 한다. 우리의 경우로 말한다면 (     )이란 대성인의 ‘어서’에 근거가 있느냐 없느냐이다.



【문제19】 그 종교의 교의를 실천한 결과가 생명이나 생활, 그리고 사회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것을 (     )이라 한다.



【문제20】 대성인은 “니치렌이 불법을 시험하건대 도리와 증문보다 더한 것은 없고, 또 도리 증문보다도 (     ) 이상은 없느니라”(어서 1468쪽)고 하셨다.




※ 다음은 <신행학>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21】 ‘자행화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구체적으로 자행은 근행(독경, 창제)이며 화타는 홍교이다.
② ‘자행화타’ 중 어느 한 쪽만 해도 된다.


【문제22】 다음의 <비유품>에서 밑줄 친㉠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르시오. (    )
“그대 사리불마저도 역시 이 경에는 ㉠신으로써 들어갈 수 있었거늘” (법화경197쪽)
① 원겸어업     ② 이신득입



※ 다음은 <난을 극복하는 신심>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23】 삼장사마 중 사마(四魔)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마’는 신심을 수행하는 사람의 생명에서 묘법의 당체인 생명의 빛을 빼앗는 작용을 말한다.
② ‘음마’는 수행자의 생명을 끊음으로서 수행을 방해하려는 마를 가리킨다.


【문제24】 정법을 믿고 수행할 때, 신심이 깊어지고 실천이 진행되면 이를 방해하려고 일어나는 작용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올바른 것을 하나만 고르시오. (    )
① 삼장사마     ② 제천선신



※ 다음은 <숙명전환>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를 읽고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하나만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숙명전환    ② 삼장사마    ③ 원질

【문제 25】 니치렌 대성인 불법은 생명을 근원부터 변혁하여,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현재와 미래에 걸친 행복경애를 확립하는 (    )의 불법이다.



【문제 26】 대성인 불법에서의 난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고난은 과거세에 자신이 저지른 행위의 결과이기 때문에 체념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② 악세에 살아서 고난을 받는 것은 사실은 남을 구하겠다는 보살의 서원에서 나온 것이다.




※ 다음은 <신심즉생활>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27】 ‘신심즉생활’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생활은 그 사람의 신심이 나타나는 것이므로 신뢰받는 사회인으로 승리해야 한다.
② 신앙은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특별한 세계의 일이므로 각각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문제28】 ‘사람의 행동’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읽고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미혹의 생명과 탁한 사회 풍조로 인해 생명존엄, 인간존경의 실천은 불가능하다.
② 최고의 사람의 행동은 만인의 생명 속에 부처의 생명이 있다고 믿고, 남을 존중하는 행동이다.



※ 다음은 <창가학회의 역사>에 대한 문제입니다.
아래의 <보기>에서 알맞은 것을 골라 (    ) 안에 그 번호를 써 넣으시오.

<보기>
① 전교대사    ② 이케다 다이사쿠    ③ 창가학회

【문제29】 현대에 대성인의 정신을 계승해 세계 광선유포의 사명을 깊이 자각하여 그 실현을 위해 진지한 실천을 관철한 불의불칙의 단체가 바로 (    )이다.



【문제30】 1960년 5월 3일 제 3대 회장에 취임한 (    ) 선생님은 그 해 10월 북남미 방문을 출발로 대성인과 도다 선생님의 불이의 제자로서 대성인의 어유명인 광선유포를 목표로 전세계를 다니며 묘법의 씨앗을 뿌리고 인재를 육성해 불교사상 처음으로 세계 광선유포의 대도를 여셨다.



【문제31】 ‘한 사람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도 전환하고, 나아가 전 인류의 숙명전환도 가능케 한다’는 주제로 사람들의 행복과 인류의 평화건설, 삼대 회장의 투쟁이 그려진 이 소설의 제목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    )
① 레미제라블     ② 신·인간혁명



※ 다음은 <닛켄종을 파한다>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32】 다음 니치렌 대성인이 <입정안국론>에서 악과의 투쟁에 대해 써 주신 어문입니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어구로 가장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저 만기를 수행하기보다는 이 (    )을 금해야 할 것이로다.”(어서 24쪽)

① 혈맥     ② 일흉


【문제33】  불법을 올바르게 실천하는 과정에서 결코 잊으면 안 되는 것은 무엇인지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    )
① 사람들의 마음을 유혹하는 근본악연인 ‘일흉’과 끝까지 싸우는 일
② 법화경의 적이 나타나더라도 책하지 않는 것